전체 글(83)
-
UX 프로젝트 -6
Feed back*데스크 리서치 - 솔루션 연결성 부족 ㄴ 리서치 부족 (방향성 및 인사이트 도출 확인이 어려움) ㄴ 주요 행동 리서치 , 페르소나 (사용자에 대한 인사이트) 적용할것 ㄴ 경쟁사 : 우리서비스와 비교해보면서 우리 서비스가 차별점으로 가져갈 수 있는 부분이 무엇인지 ㄴ 목적을 가지고 분석을 하면서 “유의미한” 인사이트를 얻어라 ㄴ 테스트의 목적, 테스트 결과 인사이트 연결 ㄴ 문제를 정의할때는, 사용자의 관점에서, 사용자가 진짜 원하는것이 무엇인지, 해결되고 나면 사용성이 정말 좋아지는지*솔루션 ㄴ 단순히 보여지는 UI 변경은 쉬운 과정 ㄴ 이번과제의 목적은 왜 그렇게 디자인을 했는지, 이렇게 디자인을 적용하면 사용자의 문제가 정말 해결되는지 🏃 Keep : 잘하고 있는 점. 계속 했으면..
2024.07.31 -
UX 프로젝트 -5 and 주간회고
FACTS(사실, 객관) 이번주는 UX 프로젝트로 코레일톡앱을 선정하였다. 데스크리서치, 사용성 테스트, 문제정의, 솔루션 도출 등 전반적으로 작업을 수행했다. FEELINGS(느낌, 주관) 그 중 사용성테스트를 통해 인사이트를 정리하는데, 참여자의 답변이 제각각이라 어떻게 정리를 해야할지 막막했다.또한 문제정의를 하는 과정에서 과연 사용자의 문제가 과연 무엇일지 명확하게 정의하기가 어려웠다.FINDINGS(배운 것)튜터님에게 피드백으로 참여자의 인사이트를 그대로 해석해야 했었다. 또한 그 과정에서 참여자의 진짜 문제가 무엇인지 이해하기 보다 문제를 정의하기 급급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FUTURE(미래) 답을 정하거나 문제를 정의하려고 빠져있기보다 제일 중요한건 참여자의 깊은 내막의 의도를 관찰하고 깊..
2024.07.31 -
UX 프로젝트 -4
튜터님 피드백인사이트는 추측이 아닌참가자의 답변 그대로 상황과 과정에서 있는 그대로 구체적으로 적어야한다.
2024.07.31 -
UX 프로젝트-3
문제정의를 할때는 사용자 관점으로 생각하기 또한 추상적인것보다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정의하기
2024.07.24 -
UX 프로젝트-2
-기: 무언가 사건의 시작, 배경의 제공, 궁금증 제기. 방향제시-승: 사건의 확장 및 발전. 점층적인 기대감 상승-전: 일종의 또다른 결론, 반전의 연속, 실마리로 인한 결말을 암시-결: 결말. 주제가 드러남. 문제 해결.큰 그림을 항상 생각하고 말하고자 하는 내용이 처음보는 상대방에게도 명확하게 보여주어 고개가 끄덕거리도록! 하는 연습이 필요할 것 같다.
2024.07.23 -
UX 프로젝트 -1
선정이유타 경쟁사앱, 공공기관 모바일앱 다운로드 순위 1위에 비해 리뷰 후기는 제일 낮아 사용성의 문제가 있을 거라 판단이 들어 선정하게 되었다.배경2010년 12월 8일 첫 출시 2017년 SRT의 예매 앱이 편의성에서 호응을 받자 코레일 톡+ 으로 개편되면서 기능을 개선하였다.제공되는 서비스 상황1. 출시 당시승카권 예매등 승차권을 구입하는 고객의 편의성 향상을 위한 기능에 주력2. 출시 이후최근 고객의 안전한 열차이용을 위한 기능 개선에 집중3. 앞으로 계획코레일톡 하나로 이동에 필요한 모든 것을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는 플랫폼 기업으로 전환해 나가겠다는 계획
2024.07.22